본문 바로가기
생활 속 돈 이야기/퇴직 및 연금 자산관리

연금 수령 시기별 실수령액 비교 (사례 포함)

by 찰떡유리 2025. 7. 18.

연금 수령 시기별 실수령액 비교 (사례 포함)

 

 

"같은 금액을 낸 연금인데, 언제 받느냐에 따라 이렇게 차이가 나요"

국민연금은 우리가 은퇴 후 노후를 위해 받게 되는 중요한 소득원입니다.
그런데 같은 기간 동안 같은 금액을 낸 사람도 언제 연금을 받기 시작하느냐에 따라
실제로 손에 쥐는 금액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이번 글에서는 연금 수령 시점을 달리했을 때 어떤 차이가 생기는지
실제 사례 중심으로 비교해볼게요.
이해하기 쉽도록 나이별, 연기/조기 수령별 수치 비교를 통해 한눈에 보여드릴게요.


1. 기본 수령 나이 vs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차이

국민연금은 일반적으로 **정해진 나이(만 63~65세)**부터 수령 가능합니다.
하지만 개인의 선택에 따라 앞당겨(조기 수령) 받을 수도 있고,
늦춰서(연기 수령) 받을 수도 있어요.

  • 조기 수령: 최대 5년 앞당길 수 있고, 매년 감액률 6%
  • 연기 수령: 최대 5년 늦출 수 있고, 매년 가산률 7.2%

즉, 5년 조기 수령하면 총 -30%, 5년 연기 수령하면 총 +36%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요.

하지만 중요한 건 "언제부터 얼마를 얼마나 오래 받느냐" 입니다.


2. 실사례 ①: 동일 납입, 수령 시기만 다른 두 사람

▶ 김연금 씨 (만 63세부터 수령)

  • 월 예상 연금: 100만 원
  • 63세부터 85세까지 수령
  • 총 수령액: 약 2억 6천만 원

▶ 박연기 씨 (만 68세부터 수령)

  • 월 예상 연금: 약 136만 원 (연기 가산율 적용)
  • 68세부터 85세까지 수령
  • 총 수령액: 약 2억 7천 8백만 원

✅ 85세까지 살 경우 연기 수령자가 더 많이 받음
❗ 단, 80세 이전 사망 시엔 조기 수령자가 유리할 수 있음

 

 


3. 실사례 ②: 연기 수령으로 총액 이득 본 경우

▶ 정00 님 (여성, 1960년생)

  • 63세부터 받을 수 있었지만 65세까지 연기함
  • 그 사이 퇴직금+개인연금으로 생활 유지
  • 65세 이후 월 수령액 114만 원 → 연 1368만 원

📌 수령 누적:

  • 63세 개시 시점 기준: 월 100만 원 × 22년 = 2억 4천만 원
  • 연기 후 수령 기준: 월 114만 원 × 20년 = 2억 7천 4백만 원

✅ 장수할수록 연기 수령의 장점이 확실히 커짐

 

 

연금 수령 시기별 실수령액 비교 (사례 포함)


4. 실사례 ③: 조기 수령했더니 이런 불이익이?

▶ 이00 님 (남성, 1958년생)

  • 60세 조기 수령 선택, 월 77만 원(감액 적용)
  • 조기 퇴직 후 소득 공백이 길어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, 이후 70세까지 생계 유지가 어려워 일용직 재취업
  • 재취업으로 인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 + 연금액 산정 불이익 발생

❌ 총 수령액은 비슷했지만,
▶▶ 연금 외 고정비용 증가로 오히려 생활은 더 빠듯

 

 


5. 결론: 당신에게 맞는 선택은?

국민연금 수령 시점은 단순히 "얼마를 받을까"보다
"얼마 동안, 어떤 상황에서, 얼마나 안정적으로 받는가"가 더 중요합니다.

  • 여유 자산이 있다면 연기 수령으로 고정소득을 키우는 전략이 유리할 수 있고
  • 소득 공백기나 건강 문제로 인해 빠른 수령이 필요한 경우엔 조기 수령이 현실적일 수 있어요

📌 중요한 건, 내가 얼마나 오래 살 것 같은지,
지금과 은퇴 이후의 생활비 흐름은 어떤지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해보는 것!

 

👉 국민연금공단 연금 예상 서비스 바로가기

 

무작정 남 따라 수령 시기 정하지 말고,
**“내 기준에 맞춘 전략”**을 세우는 것이 진짜 준비된 연금 활용이에요.